코드진행 연습 방법

1. 목표

악보없이 기타 치기


2. 준비물

통기타 + 카포 + 노래책



3. 기초이론

* 초보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단순화된 설명이므로 이론 상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① 통기타나 피아노 등 악기로 반주할 때 코드(화음)를 사용하여 반주함.
   
② 가수마다 목소리 음역대가 다름. 낮은 사람도 있고 높은 사람도 있음.
이러한 음역대에 이름을 붙인 것이 scale(음계)임. 
=> C Major scale(다장조), D Major scale(라장도) 등.
   
③ 악보 조표에 #(샾)과 b(플렛)을 붙여 해당 곡의 scale을 표시함.

예를 들어 악보 조표에 #이 3개가 붙어있으면 A Major scale(또는 E minor scale) 곡임. 
   
④ scale 별로 1도부터 7도까지 7개씩 다이어토닉 코드가 있음. 
다이어토닉 코드만 사용해도 기초적인 반주 가능함.

⑤ C Major scale 곡인데 노래하는 사람 목소리가 E scale이면, 반주도 E Major scale 코드로 반주를 해줘야 어울림.
이때 E Major scale 코드가 어려우면 카포를 통기타 4플렛에 끼우고(변조) C Major scale코드로 반주하면 똑같은 소리가 남. 통기타 1개 플렛이 반음 간격임. 

즉, 악보 코드진행이 E–A–E–B7이라면 1도–4도–1도–5도 진행이므로, 통기타 4플렛에 카포를 끼우고 C-F-C-G코드(1도–4도–1도–5도)로 반주하면 똑같은 것임.
   
⑥ 악보 없이 기타 치려면 코드진행 연습을 통해 1도–4도–1도–5도 같은 진행을 몸으로 익혀야 함.
   

4. 연습방법 

노래책을 펴 부르고 싶은 노래의 scale을 파악하고 7개이 다이어토닉 코드로 반주하며 다음 도수를 예측해 통기타로 쳐봄. 100곡 정도 연습함.   

5. 앱으로 연습

통기타로 오래 연습하면 손가락도 아프고 소음 민원이 발생할 수 있어 쉽지 않습니다.
이럴 때 RSJ 통기타 앱을 이용하면 손가락도 안 아프고 늦은 밤에도 편안하게 연습할 수 있습니다.   
(안드로이드) RSJ 통기타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Practicing Progression of Chords

코행